자료실 : MDS테크
  • LOGIN
  • 회원가입
  • SW 개발도구
    • 디버거/컴파일러
      • TRACE32
      • Arm Solutions
      • Green Hills Software
    • SW 테스팅 솔루션
      • DT+ (구.DT10)
    • 자율주행/ADAS/ECU 개발 솔루션
      • Cruden(Driving Simulator)
      • V2X솔루션(Cohda Wireless)
      • Danlaw(Mx-Suite)
      • Danlaw(HMI 테스트 자동화 솔루션)
      • Cognata (자율주행 시뮬레이션 SW)
      • b-plus BRICK(차량용 데이터 수집 장치)
      • MachineWare (vECU, SoC 시뮬레이션)
    • AUTOSAR & MBD 개발/검증 솔루션
      • mobilgene(AUTOSAR Basic SW)
      • Model Examiner(MXAM) (모델 정적 검증)
      • Reactis (Simulink 모델 동적 검증)
  • 임베디드
    • 열화상 카메라
      • 열화상 카메라
      • 드론
        • 드론 제품
        • 페이로드
        • 드론용 열화상 카메라
      • 환경계측기
      • 파이로미터
      • 솔루션
      • 고객지원
    • 국방/항공 임베디드 SW
      • 국방/항공용 RTOS (NEOS)
    • 산업자동화 솔루션
      • 산업용 임베디드 모듈/보드/컴퓨터
      • 국방/항공/철도/의료용 시스템
      • 산업용 게이트웨이
      • HW기반 원격제어
  • IoT & AI
    • NVIDIA AI 플랫폼
      • DGX System
      • Compute & Visualization GPU
      • Jetson Series
      • Drive Series
      • 3rd-party Item
      • NVIDIA 딥러닝 교육
        • NVIDIA 딥러닝 교육
    • 영상/음성 무전 솔루션
      • EveryTalk 솔루션
      • PTT 전용 단말기
    • Windows IoT 솔루션
      • Windows IoT OS
      • 임베디드 시스템 전용 백업/복원 솔루션
    • 클라우드
      • 플랫폼
        • Microsoft Azure
        • Naver Cloud
        • Amazon Web Services (AWS)
      • 솔루션
        • Cloud Monitoring
        • HashiCorp
        • Snowflake
    • 스포츠 AI 플랫폼
      • Stats Perform
    • 빅데이터/머신러닝
      • Splunk
        • Splunk 소개
        • 제품소개
        • 고객지원
      • DataRobot
    • 원격 지원/제어 솔루션
      • AnyDesk
    • Microsoft Office 솔루션
      • 산업용 Office LTSC Embedded
      • CSP 영구 라이선스
  • 컨설팅
    • 교육/컨설팅/서비스
      • 국방/항공 인증 컨설팅(DO-178C/254)
  • 고객지원
    • 홍보센터
      • 공지사항
      • 언론보도
    • 제품문의
    • 해외 파트너 문의
    • 연락처
    • 기술지원
    • 자료실
  • 회사소개
    • 회사개요
      • 회사개요
      • 인사말
      • 연혁
      • 사업부문 소개
      • 자회사/해외지사
    • 파트너/주요고객
    • IR
      • 재무정보
      • 공시정보
      • IR자료실
    • 기업문화
      • M+Culture
      • 윤리경영
      • 윤리행동강령
    • 찾아오시는길
ENG

Arm 공식 판매처

Arm Development Studio Keil MDK

DT+ 국내 총판

DT+ Trace DT+ FS

TRACE32

TRACE32 solution MDS테크 교육

MDS테크 공식 채널

FLIR 열화상 카메라

열화상 블로그 열화상카메라 스토어

NVIDIA AI 플랫품

NVIDIA AI 블로그 네이버 톡톡 제품 문의 MDS테크 AI 스토어

머신 데이터/클라우드/IoT

윈도우와 IoT 이야기 머신 데이터&클라우드 블로그 IoT Tech Tube
제품문의

SW 개발도구

디버거/컴파일러
  • - TRACE32
  • - Arm Solutions
  • - Green Hills Software
SW 테스팅 솔루션
  • - DT+ (구.DT10)
자율주행/ADAS/ECU 개발 솔루션
  • - Cruden
  • - V2X솔루션
  • - Danlaw(Mx-Suite)
  • - Danlaw(HMI 테스트 자동화 솔루션)
  • - Cognata (자율주행 시뮬레이션 SW)
  • - b-plus BRICK
  • - MachineWare (vECU, SoC 시뮬레이션)
AUTOSAR & MBD 개발/검증 솔루션
  • - mobilgene
  • - Model Examiner
  • - Reactis

임베디드

열화상 카메라
  • - 열화상 카메라
  • - 드론
  • - 환경계측기
  • - 파이로미터
  • - 솔루션
  • - 고객지원
국방/항공 임베디드 SW
  • - 국방/항공용 RTOS (NEOS)
산업자동화 솔루션
  • - 산업용 임베디드 모듈/보드/컴퓨터
  • - 국방/항공/철도/의료용 시스템
  • - 산업용 게이트웨이
  • - HW기반 원격제어

IoT & AI

NVIDIA AI 플랫폼
  • - DGX System
  • - Compute & Visualization GPU
  • - Jetson Series
  • - Drive Series
  • - 3rd-party Item
  • - NVIDIA 딥러닝 교육
영상/음성 무전 솔루션
  • - EveryTalk 솔루션
  • - PTT 전용 단말기
Windows IoT 솔루션
  • - Windows IoT OS
  • - 임베디드 시스템 전용 백업/복원 솔루션
클라우드
  • - 플랫폼
  • - 솔루션
스포츠 AI 플랫폼
  • - Stats Perform
빅데이터/머신러닝
  • - Splunk
  • - DataRobot
원격 지원/제어 솔루션
  • - AnyDesk
Microsoft Office 솔루션
  • - 산업용 Office LTSC Embedded
  • - CSP 영구 라이선스

컨설팅

교육/컨설팅/서비스
  • - 국방/항공 인증 컨설팅(DO-178C/254)

고객지원

홍보센터
  • - 공지사항
  • - 언론보도
제품문의
해외 파트너 문의
연락처
기술지원
자료실

회사소개

회사개요
  • - 회사개요
  • - 인사말
  • - 연혁
  • - 사업부문 소개
  • - 자회사/해외지사
파트너/주요고객
IR
  • - 재무정보
  • - 공시정보
  • - IR자료실
기업문화
  • - M+Culture
  • - 윤리경영
  • - 윤리행동강령
찾아오시는길
  • SW 개발도구
    • 디버거/컴파일러
      • TRACE32
      • Arm Solutions
      • Green Hills Software
    • SW 테스팅 솔루션
      • DT+ (구.DT10)
    • 자율주행/ADAS/ECU 개발 솔루션
      • Cruden(Driving Simulator)
      • V2X솔루션(Cohda Wireless)
      • Danlaw(Mx-Suite)
      • Danlaw(HMI 테스트 자동화 솔루션)
      • Cognata (자율주행 시뮬레이션 SW)
      • b-plus BRICK(차량용 데이터 수집 장치)
      • MachineWare (vECU, SoC 시뮬레이션)
    • AUTOSAR & MBD 개발/검증 솔루션
      • mobilgene(AUTOSAR Basic SW)
      • Model Examiner(MXAM) (모델 정적 검증)
      • Reactis (Simulink 모델 동적 검증)
  • 임베디드
    • 열화상 카메라
      • 열화상 카메라
      • 드론
        • 드론 제품
        • 페이로드
        • 드론용 열화상 카메라
      • 환경계측기
      • 파이로미터
      • 솔루션
      • 고객지원
    • 국방/항공 임베디드 SW
      • 국방/항공용 RTOS (NEOS)
    • 산업자동화 솔루션
      • 산업용 임베디드 모듈/보드/컴퓨터
      • 국방/항공/철도/의료용 시스템
      • 산업용 게이트웨이
      • HW기반 원격제어
  • IoT & AI
    • NVIDIA AI 플랫폼
      • DGX System
      • Compute & Visualization GPU
      • Jetson Series
      • Drive Series
      • 3rd-party Item
      • NVIDIA 딥러닝 교육
        • NVIDIA 딥러닝 교육
    • 영상/음성 무전 솔루션
      • EveryTalk 솔루션
      • PTT 전용 단말기
    • Windows IoT 솔루션
      • Windows IoT OS
      • 임베디드 시스템 전용 백업/복원 솔루션
    • 클라우드
      • 플랫폼
        • Microsoft Azure
        • Naver Cloud
        • Amazon Web Services (AWS)
      • 솔루션
        • Cloud Monitoring
        • HashiCorp
        • Snowflake
    • 스포츠 AI 플랫폼
      • Stats Perform
    • 빅데이터/머신러닝
      • Splunk
        • Splunk 소개
        • 제품소개
        • 고객지원
      • DataRobot
    • 원격 지원/제어 솔루션
      • AnyDesk
    • Microsoft Office 솔루션
      • 산업용 Office LTSC Embedded
      • CSP 영구 라이선스
  • 컨설팅
    • 교육/컨설팅/서비스
      • 국방/항공 인증 컨설팅(DO-178C/254)
  • 고객지원
    • 홍보센터
      • 공지사항
      • 언론보도
    • 제품문의
    • 해외 파트너 문의
    • 연락처
    • 기술지원
    • 자료실
  • 회사소개
    • 회사개요
      • 회사개요
      • 인사말
      • 연혁
      • 사업부문 소개
      • 자회사/해외지사
    • 파트너/주요고객
    • IR
      • 재무정보
      • 공시정보
      • IR자료실
    • 기업문화
      • M+Culture
      • 윤리경영
      • 윤리행동강령
    • 찾아오시는길

고객지원

MDS테크는 고객을 먼저 생각합니다.
고객지원
  • SW 개발도구
  • 임베디드
  • IoT & AI
  • 컨설팅
  • 회사소개
자료실
  • 홍보센터
  • 제품문의
  • 해외 파트너 문의
  • 연락처
  • 기술지원

[자동차SW블로그] dSPACE RTI CAN MultiMessage Blockset 에서 CAN/CAN FD CRC 적용 방법

등록일 2020-07-27 조회수 13649

dSPACE RTICANMM에서 CAN/CAN FD CRC 적용 방법​​


dSPACE Help Desk 에서는RTICANMM 에서 CRC/Checksum을 적용하는 튜토리얼을 제공합니다.


▶dSPACE RTI CAN MultiMessage Blockset Tutorial

▶Lesson 6: Performing a CAN Restbus Simuation

▶Step 4: How to Specify Checksums


위 튜토리얼에서는 단순한 예시를 다루므로, 본 게시글에서는 실제 차량 CAN 통신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CRC 공식을 예제로 설명하겠습니다.


CRC 예제


1. 8-bit CRC : Common

- Alive Counter : Max. 0x0F

- Polynomial : 0x1D (CRC-8-SAE J1850)

- Initial Value : 0xFF

- XOR Value : 0xFF

2. 8-bit CRC : AUTOSAR E2E Profile 11

- Alive Counter : Max. 0x0E

- Polynomial : 0x1D (CRC-8-SAE J1850)

- Data ID Mode : Both

- Initial Value : 0x00

- XOR Value : 0xFF

[AUTOSAR E2E Profile 11 정의 일부 발췌]

​

3. 16-Bit CRC : AUTOSAR E2E Profile 5

- Alive Counter : Max. 0xFF

- Polynomial : 0x1021

- Initial Value : 0xFFFF

- XOR Value : 0x00

[AUTOSAR E2E Profile 5 정의 일부 발췌]

​

Data ID : 예제에서 Data ID 는 고유한 값을 나타내기 위해 Message ID로 정의. 예시이니 실제 적용시에는 사양에 맞춰 정의하여야 합니다.


CRC 테이블


CAN 통신에서 CRC는 CRC Byte 를 제외한 Data Byte 에 대해 1Byte 단위로 연산합니다.

Byte를 Bit 단위로 반복 연산하는 과정에서의 속도, 메모리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로 CRC 테이블 기법을 사용합니다.

CRC 테이블이란 1Byte가 나타내는 0x00 ~ 0xFF의 256가지 경우에 대해서 Bit 연산한 결과를 나열한 Array입니다.

예제에서는 8-bit CRC 는 0x1D, 16-bit CRC 는 0x1021 의 다항식(Polynomial)을 사용하며, 해당 다항식의 CRC Table 은 아래와 같습니다.


▶8-bit CRC 테이블 (x^8+x^4+x^3+x^2+x^0 including 0x1D)

UInt8 crctable[256]=

{

0x00, 0x1D, 0x3A, 0x27, 0x74, 0x69, 0x4E, 0x53, //1

0xE8, 0xF5, 0xD2, 0xCF, 0x9C, 0x81, 0xA6, 0xBB, //2

0xCD, 0xD0, 0xF7, 0xEA, 0xB9, 0xA4, 0x83, 0x9E, //3

0x25, 0x38, 0x1F, 0x02, 0x51, 0x4C, 0x6B, 0x76, //4

0x87, 0x9A, 0xBD, 0xA0, 0xF3, 0xEE, 0xC9, 0xD4, //5

0x6F, 0x72, 0x55, 0x48, 0x1B, 0x06, 0x21, 0x3C, //6

0x4A, 0x57, 0x70, 0x6D, 0x3E, 0x23, 0x04, 0x19, //7

0xA2, 0xBF, 0x98, 0x85, 0xD6, 0xCB, 0xEC, 0xF1, //8

0x13, 0x0E, 0x29, 0x34, 0x67, 0x7A, 0x5D, 0x40, //9

0xFB, 0xE6, 0xC1, 0xDC, 0x8F, 0x92, 0xB5, 0xA8, //10

0xDE, 0xC3, 0xE4, 0xF9, 0xAA, 0xB7, 0x90, 0x8D, //11

0x36, 0x2B, 0x0C, 0x11, 0x42, 0x5F, 0x78, 0x65, //12

0x94, 0x89, 0xAE, 0xB3, 0xE0, 0xFD, 0xDA, 0xC7, //13

0x7C, 0x61, 0x46, 0x5B, 0x08, 0x15, 0x32, 0x2F, //14

0x59, 0x44, 0x63, 0x7E, 0x2D, 0x30, 0x17, 0x0A, //15

0xB1, 0xAC, 0x8B, 0x96, 0xC5, 0xD8, 0xFF, 0xE2, //16

0x26, 0x3B, 0x1C, 0x01, 0x52, 0x4F, 0x68, 0x75, //17

0xCE, 0xD3, 0xF4, 0xE9, 0xBA, 0xA7, 0x80, 0x9D, //18

0xEB, 0xF6, 0xD1, 0xCC, 0x9F, 0x82, 0xA5, 0xB8, //19

0x03, 0x1E, 0x39, 0x24, 0x77, 0x6A, 0x4D, 0x50, //20

0xA1, 0xBC, 0x9B, 0x86, 0xD5, 0xC8, 0xEF, 0xF2, //21

0x49, 0x54, 0x73, 0x6E, 0x3D, 0x20, 0x07, 0x1A, //22

0x6C, 0x71, 0x56, 0x4B, 0x18, 0x05, 0x22, 0x3F, //23

0x84, 0x99, 0xBE, 0xA3, 0xF0, 0xED, 0xCA, 0xD7, //24

0x35, 0x28, 0x0F, 0x12, 0x41, 0x5C, 0x7B, 0x66, //25

0xDD, 0xC0, 0xE7, 0xFA, 0xA9, 0xB4, 0x93, 0x8E, //26

0xF8, 0xE5, 0xC2, 0xDF, 0x8C, 0x91, 0xB6, 0xAB, //27

0x10, 0x0D, 0x2A, 0x37, 0x64, 0x79, 0x5E, 0x43, //28

0xB2, 0xAF, 0x88, 0x95, 0xC6, 0xDB, 0xFC, 0xE1, //29

0x5A, 0x47, 0x60, 0x7D, 0x2E, 0x33, 0x14, 0x09, //30

0x7F, 0x62, 0x45, 0x58, 0x0B, 0x16, 0x31, 0x2C, //31

0x97, 0x8A, 0xAD, 0xB0, 0xE3, 0xFE, 0xD9, 0xC4 //32

};


▶16-Bit CRC 테이블 x^16+x^12+x^5+x^0 including 0x1021

UInt16 crc16table[256]=

{

0x0000, 0x1021, 0x2042, 0x3063, 0x4084, 0x50A5, 0x60C6, 0x70E7, //1

0x8108, 0x9129, 0xA14A, 0xB16B, 0xC18C, 0xD1AD, 0xE1CE, 0xF1EF, //2

0x1231, 0x0210, 0x3273, 0x2252, 0x52B5, 0x4294, 0x72F7, 0x62D6, //3

0x9339, 0x8318, 0xB37B, 0xA35A, 0xD3BD, 0xC39C, 0xF3FF, 0xE3DE, //4

0x2462, 0x3443, 0x0420, 0x1401, 0x64E6, 0x74C7, 0x44A4, 0x5485, //5

0xA56A, 0xB54B, 0x8528, 0x9509, 0xE5EE, 0xF5CF, 0xC5AC, 0xD58D, //6

0x3653, 0x2672, 0x1611, 0x0630, 0x76D7, 0x66F6, 0x5695, 0x46B4, //7

0xB75B, 0xA77A, 0x9719, 0x8738, 0xF7DF, 0xE7FE, 0xD79D, 0xC7BC, //8

0x48C4, 0x58E5, 0x6886, 0x78A7, 0x0840, 0x1861, 0x2802, 0x3823, //9

0xC9CC, 0xD9ED, 0xE98E, 0xF9AF, 0x8948, 0x9969, 0xA90A, 0xB92B, //10

0x5AF5, 0x4AD4, 0x7AB7, 0x6A96, 0x1A71, 0x0A50, 0x3A33, 0x2A12, //11

0xDBFD, 0xCBDC, 0xFBBF, 0xEB9E, 0x9B79, 0x8B58, 0xBB3B, 0xAB1A, //12

0x6CA6, 0x7C87, 0x4CE4, 0x5CC5, 0x2C22, 0x3C03, 0x0C60, 0x1C41, //13

0xEDAE, 0xFD8F, 0xCDEC, 0xDDCD, 0xAD2A, 0xBD0B, 0x8D68, 0x9D49, //14

0x7E97, 0x6EB6, 0x5ED5, 0x4EF4, 0x3E13, 0x2E32, 0x1E51, 0x0E70, //15

0xFF9F, 0xEFBE, 0xDFDD, 0xCFFC, 0xBF1B, 0xAF3A, 0x9F59, 0x8F78, //16

0x9188, 0x81A9, 0xB1CA, 0xA1EB, 0xD10C, 0xC12D, 0xF14E, 0xE16F, //17

0x1080, 0x00A1, 0x30C2, 0x20E3, 0x5004, 0x4025, 0x7046, 0x6067, //18

0x83B9, 0x9398, 0xA3FB, 0xB3DA, 0xC33D, 0xD31C, 0xE37F, 0xF35E, //19

0x02B1, 0x1290, 0x22F3, 0x32D2, 0x4235, 0x5214, 0x6277, 0x7256, //20

0xB5EA, 0xA5CB, 0x95A8, 0x8589, 0xF56E, 0xE54F, 0xD52C, 0xC50D, //21

0x34E2, 0x24C3, 0x14A0, 0x0481, 0x7466, 0x6447, 0x5424, 0x4405, //22

0xA7DB, 0xB7FA, 0x8799, 0x97B8, 0xE75F, 0xF77E, 0xC71D, 0xD73C, //23

0x26D3, 0x36F2, 0x0691, 0x16B0, 0x6657, 0x7676, 0x4615, 0x5634, //24

0xD94C, 0xC96D, 0xF90E, 0xE92F, 0x99C8, 0x89E9, 0xB98A, 0xA9AB, //25

0x5844, 0x4865, 0x7806, 0x6827, 0x18C0, 0x08E1, 0x3882, 0x28A3, //26

0xCB7D, 0xDB5C, 0xEB3F, 0xFB1E, 0x8BF9, 0x9BD8, 0xABBB, 0xBB9A, //27

0x4A75, 0x5A54, 0x6A37, 0x7A16, 0x0AF1, 0x1AD0, 0x2AB3, 0x3A92, //28

0xFD2E, 0xED0F, 0xDD6C, 0xCD4D, 0xBDAA, 0xAD8B, 0x9DE8, 0x8DC9, //29

0x7C26, 0x6C07, 0x5C64, 0x4C45, 0x3CA2, 0x2C83, 0x1CE0, 0x0CC1, //30

0xEF1F, 0xFF3E, 0xCF5D, 0xDF7C, 0xAF9B, 0xBFBA, 0x8FD9, 0x9FF8, //31

0x6E17, 0x7E36, 0x4E55, 0x5E74, 0x2E93, 0x3EB2, 0x0ED1, 0x1EF0 //32

};


위 CRC 테이블을 얻기 위한 Python, Matlab M-Script, C 로 작성한 예제는 아래와 같습니다.

[CRC Table – Python 예제]

​

[CRC Table – MATLAB M-Script 예제]

[CRC Table – C 예제]

​

RTICANMM 적용 방법


Part 1 CRC Header File 생성


1. RTI CAN MultiMessage MainBlock 을 클릭하여 다이얼로그 창 Open.

[RTICANMM MainBlock]

​

2. Messages -> Message Manipulation -> Checksum -> Checksum Definition

3.Identifier for cases에 CRC 공식을 대표하는 Case ID (사용자임의) 정의

3-1.예제 1. CRC (8-bit CRC : Common)

3-2.예제 2.CRC8 (8-bit CRC : AUTOSAR E2E Profile 11)

3-3.예제 3. CRC16 (16-bit CRC : AUTOSAR E2E Profile 5)


4.[▶]버튼 클릭Defined cased identifierList에 Header 파일의 Case 순서대로 추가

[RTICANMM MainBlock 설정]

5.Header

file : 이름(사용자정의).h 입력


6.Create Header File 클릭 -> 다이얼로그 창 확인

[Create Header File]

​

Part 2 CRC 공식 정의

1.Edit Header File 클릭

[Edit Header File]

2.Editor에서 Header File에 각 CRC 공식 정의

변수 선언

[CRC Header 변수 선언]

CRC 테이블

[CRC 테이블]

CRC 계산

Case1 CRC8 Common 은 Data byte 뒤에 CRC Byte가 위치하는 일반적인 공식으로 CRC 연산은 CRC Byte를 제외하고 반복 연산합니다.

[CRC Case1]

Case2 CRC8 E2E Profile 11 에서 CRC Byte Position은 [0]으로 고정이며 Data ID, Alive Counter, Data Byte 순으로 CRC 연산을 반복합니다.

[CRC Case2]

Case3 CRC16 E2E Profile 5 에서 CRC Byte Position은 [0][1]으로 고정이며 Alive Counter, Data Byte, Data ID 순으로 CRC 연산을 반복합니다.

[CRC Case3]

CRC Return

16-Bit CRC 는 2Byte 를 사용하므로 계산된 CRC 를 Low/High Byte 로 Filtering 하여 CRC LSB, MSB 로 각각 Return 하여야 합니다.

BytePos = CsBitPos/8 는 CRC Signal이 CAN Data Field 에서 위치한 Byte Position을 의미합니다.

해당 예제의 Byte Order 는 Intel로 LowBytePos[BytePos], HighBytePos[BytePos +1] 로 정의합니다.

[CRC Return]

CRC Check

[CRC Check]

3.정의된 CRC Header File Save 및 Close

4.Check Header File 클릭 -> 다이얼로그 창 확인

[Check Header File]


Part 3 CRC / Alive Counter 지정

1.Messages -> Message Manupulation -> Checksum -> Checksum Messages

2.Message, Signal, Algorithm 선택 -> Set -> 각 메시지 설정 완료 후 -> Apply

[CRC 지정]

3.Signals -> TX -> Signal Manipulation -> Counter

4.Message, Signal 선택 -> Counter 값 입력 -> Set -> 각 Message 설정 완료 후 -> Apply

[Counter 정의]

[Counter 설정]

5.Signals -> TX -> Signal Default Manipulation

6.User-defined Defaults 선택

7-1.CRC Signal 은 Constant 선택 -> Set

7-2.Alive Counter Signal 은 Counter 선택 -> Set

8.각 Message 설정 완료 후 -> Apply -> Create -> OK

[Signal Default Manipulation]



​▶ CAN통신을 위한 RTI CAN MultiMessage Blockset 설정 및 빌드 방법 보기

​​▶ CRC_Header_Common.h 다운받기

​​​▶ 출처: 자동차 SW 블로그

이전글데이터가 없습니다.
다음글데이터가 없습니다.

목록

확인
제 품문 의
top
sitemap

SW 개발도구

  • 디버거/컴파일러
  • SW 테스팅 솔루션
  • 자율주행/ADAS/ECU 개발 솔루션
  • AUTOSAR & MBD 개발/검증 솔루션

임베디드

  • 열화상 카메라
  • 국방/항공 임베디드 SW
  • 산업자동화 솔루션

IoT & AI

  • NVIDIA AI 플랫폼
  • 영상/음성 무전 솔루션
  • Windows IoT 솔루션
  • 클라우드
  • 스포츠 AI 플랫폼
  • 빅데이터/머신러닝
  • 원격 지원/제어 솔루션
  • Microsoft Office 솔루션

컨설팅

  • 교육/컨설팅/서비스

고객지원

  • 홍보센터
  • 제품문의
  • 해외 파트너 문의
  • 연락처
  • 기술지원
  • 자료실

회사소개

  • 회사개요
  • 파트너/주요고객
  • IR
  • 기업문화
  • 찾아오시는길

(주)MDS테크 (구.한컴MDS)개인정보처리방침법적고지

주소 : 13493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644번길 49 DTC타워 9층TEL: 031-627-3000 FAX:031-627-3008사업자등록번호 : 117-81-22859대표자 : 이창열, 이정승

©MDS Tech Inc. All Rights Reserved.